진단기준
공복시 혈청 콜레스테롤이 220 ㎎/㎗ 이상이거나 중성지방이 250 ㎎/㎗ 이상인 경우 를 고지혈증이라 진단합니다.
콜레스테롤 검사 시기
일반적으로 20세가 되면 검사를 시작, 최소 5년에 한번씩 검사해 보아야 합니다.
특히, 다음의 경우는 심장병의 위험이 높으므로 보다 자주 검사해야 합니다.
- 고혈압
- 45세 이상의 남성
- 당뇨병
- 55세 이상의 여성
- 흡연
- 호르몬 치료를 하지 않은 폐경기 여성
- 비만
- 직계 가족 중 급사나 심근경색증이 있는 경우
치료법에는 금연, 체중조절, 운동, 식이요법, 약물치료 등이 있습니다.
- 표준체중을 유지합니다.
- 표준체중 = (자신의 키 - 100) × 0.9 (예) 키 (170㎝ - 100) × 0.9 = 63 ㎏
식사요법
적게 먹어야 할 음식
-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의 기름이나 껍질, 간 · 콩팥과 같은 내장류
- 오징어, 새우, 뱀장어, 생선알, 단 음식(시럽, 꿀, 과자, 아이스크림)
- 식물성 기름 중 코코넛 기름(프림, 초콜릿, 비스킷 등), 팜유(라면)
- 버터, 치즈, 기름에 튀기거나 볶거나 부치는 음식
- 참기름, 들기름, 식용유 : 하루 3 ~ 4 작은 술 이하
- 달걀노른자 : 1주일에 2개 이하(흰자는 상관없습니다.)
- 술
외식 시 피해야 할 음식
- 곰탕, 설렁탕, 도가니탕, 해장국, 선지국, 곱창전골, 부대찌개
- 중국음식, 뷔페, 피자, 햄버거, 후라이드 치킨
외식 시 권장음식
- 비빔밥, 한정식, 김밥, 초밥, 국수, 생선구이, 매운탕
운동요법
- 산보, 조깅, 자전거 타기, 수영 등
- 1주일에 3 ~ 5회, 30 ~ 40분 정도 꾸준히 합니다.
식사조절이나 운동을 3 ~ 6개월 정도 한 후에도 좋아지지 않으면 약물치료를 받아야 합 니다. 약은 종류가 다양하므로 필히 주치의와 상담 후 드셔야 합니다.
라이선스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제2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common/image/new_img_opentype02.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