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메뉴


문화재

구인사

구인사

주소 단양군 영춘면 구인사길73(백자리 132-1)
홈페이지 http://www.guinsa.org/

소개

칡덩굴에서 시작한 웅장한 사찰 구인사
티끌 모아 태산이라는 속담이 있는 것처럼 커다란전체는 작은 시작에서 이루어지는 법이다.

대한불교 천태종의 총본산 사찰로서, 전국에 140개나 되는절을 관장하고 있는 구인사도 처음에는 작은 암자에서시작되었다. 1945년 연화봉 아래 자리를 잡은 상월원각 스님은 손수 칡덩굴을 얽어 삼간초암을 짓고 그곳에서 정진 끝에 큰 깨달음을 얻어 지금의 구인사를 창건하게 되었다고 한다.

일주문에서 시작하여 산줄기를 따라 이어지는 웅장한기와행렬이 강한 첫인상을 남기는 구인사. 현재 경내에는 대법당을 비롯하여 삼보당, 설선당, 총무원, 인광당, 장문실, 향적당, 도향당 등 50여 동의 건물들이 가득 채우고 있어 보는 이의 시선을 압도한다.

특히, 천태종의 유명한 스님들의 초상화를 모시고 있는 조사전은 사찰 내에서도 전망 좋은 곳에 자리하고 있다. 기와한 장, 창문살 하나에도 금빛으로 덧칠되어 있어 구인사의 위용스러움을 더욱 돋보이게 하는 건물이다.

문화재목록

초조본대방광불화엄경주본

[초조본대방광불화엄경주본]
- 종별 : 국보 257호
- 분류 : 목판본류
- 시대 : 고려
대방광불화엄경주본은 줄여서 화염경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부처와 중생이 둘이 아니라 하나라는 것을 기본사상으로 하고 있다.

대방광불화엄경소

[대방광불화엄경소]
- 종별 : 보물 1013호
- 분류 : 목판본류
- 시대 : 조선
화엄종의 근본경전으로 법화경과 함게 한국 불교사상 확립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 경전이다.

인천안목

[인천안목]
- 종별 : 보물 1015호
- 시대 : 조선
송나라 승려 지소가 당시 불교 5개종파의 기본사상과 창시자들의 행적을 요약한 책으로 고려 공민왕 6년 원나라에서 활동하던 강금강이 간행한 책을 원본으로 삼아 조선 태조 4년에 무학대가사 화암사에서 다시 새겨 펴낸 것이다.

대방광원각락소주경

[대방광원각락소주경]
- 종별 : 보물 1016호
- 분류 목판본류
- 시대 : 고려
줄여서 원각경이라고 하며, 훌륭한 이론과 실천을 말하고 불교 수행의 길잡이가 되었던 경전으로 우리나라 승려의 교과과목중 하나 이다.

대방광불화엄경

[대방광불화엄경]
- 종별 : 보물 1017호
- 분류 : 목판본류
- 시대 : 고려
화엄종의 근본경전으로 법화경과 함께 한국 불교사상 확립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 경전이다.

대불정여래밀인수증료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대불정여래밀인수증료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 종별 : 보물 1049호
- 분류 : 금속활자
- 시대 : 조선
능엄경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스님들이 수련과정에서 필수적으로 배우는 경전으로 부처님의 말씀을 머릿속으로 이해하는데 그치지 않고 자신이 직접체득하여 힘을 갖는 것을 중요사상으로 하고 있다.

불설아미타경

[불설아미타경]
- 종별 : 보물 1050호
- 분류 : 목판본류
- 시대 : 조선
무량수경, 관무량수경과 함게 정토3부경의 하나로 아미타불과 극락정토의 장엄함을 설명하고 아미타불을 한마음으로 부르면 극락에서 왕생한다는 것을 중심내용으로 하고 있다.

묘법연화경삼매참법

[묘법연화경삼매참법]
- 종별 : 보물 1162호
- 분류 : 목판본류
- 시대 : 고려
법화경이라고 부리기도 하며, 부처가 되는 길이 누구에게나 열려 있다는 것을 중요사상으로 한다.

묘법연화경

[묘법연화경]
- 종별 : 보물 1164호
- 분류 : 목판본류
법화경이라고 부리기도 하며, 부처가 되는 길이 누구에게나 열려 있다는 것을 중요사상으로 하는 내용의 경전이다.

단양구인사금동구층소탑

[단양구인사금동구층소탑]
- 종별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209호
- 분류 : 금동탑
- 시대 : 고려
목탑양식을 모방한 네모난 모양의 작은 규모의 9층탑으로 청동으로 만들고 금도금을 하였다.

단양구인사아미타회상탱화

[단양구인사아미타회상탱화]
- 종별 : 충청북도유형문화재210호
- 분류 : 불화
- 시대 : 조선
아미타불을 본존으로 한 아미타불후불탱화로서 극락구품도를 묘사하였다.

단양구인사청자소문발우

[단양구인사청자소문발우]
- 종별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211호
- 시대 : 고려
청자소문발우는 고려시대 생활용기로서 색상이 청아하고 유연하며 보존상태가 양호하여 문화재적 가치가 높다.

목록보기